Breath Easy Club

의료정보

소식지 바로가기

후원해주신 분들

  • 개인 기부자
  • 기업 단체

인공호흡기 사용

홈 > 의료정보 > 인공호흡기 사용

다양한 호흡재활 도구의 발전과 기술의 발달

  • 진행성 근력 약화를 보이는 근육병, 루게릭 병, 척수성 근위축증 등의 신경근육계 질환에서는 병의 말기에 이르면 호흡근력의 약화 로 인하여 인공호흡기를 사용해야 되는 경우가 많다. 그러나 인공호흡기 사용 여부는 의학적 측면만 단순히 고려하여 판단해야하는 경우보다는 윤리적인 문제와 경제적 문제를 함께 고려해야 할 때가 많다.
  • 고도의 장애가 동반된 환자에서 인공호흡기를 이용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문제는 사회적 논란과 함께 연구 결과도 상이하게 보고 되고 있다. 즉, 신경근육계 환자들이 장기간 인공호흡기에 의존해야 하는 경우 막대한 도덕적 및 경제적 고충이 따를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의 인공호흡기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는 보고가 있는가 하면,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의미 있는 삶을 즐길 수 있다는 연구도 있었다.
  • 따라서 인공호흡기를 사용해야 하는 시점에서 환자 ,보호자,그리고 의료인 모두가 심각한 고민을 하게 되는 것이다. 신경근육계 환자들은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생명만 유지하는 식물인간 상태와는 달리 의식 상태는 명료하기 때문에 생명연장을 위 한 호흡기 사용 여부는 안락사 허용 여부와 관련하여 많은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.
  • 많은 의료인들이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에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지만, 호흡기를 사용하는 근위축성 측 삭경화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보고에서는 장기간 가정에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고 있는 환자의 90%가 기계적 환기를 시행 받 고 있는 것에 대해 호의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인공호흡기 사용 여부를 결정해야 할 상황이 다시 발생하더라도 똑같은 선택을 할 것이라고 하였다.
  • 뒤시엔느형 근디스트로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환자의 만족도는 일반적인 예상보다 훨씬 높게 조사되었다. 대부분의 환 자가 호흡기를 사용해야만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자신의 삶에 대해 부정적이고 회의적일 것이라는 의료인 및 일반인들의 예상과는 달리 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 자신들은 오히려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주었다는 것이다.
  •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환자의 삶에 대한 가치 기준을 환자 본인 이외의 사람들이 추측하여 단정하는 것은 잘못된 결정을 내릴 수 있 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겠다. 환자들의 삶의 질에 대한 의료진들의 생각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. 즉, 의료진들이 평가 하는 환자들의 삶의 질에 대한 선입관은 환자의 상황이나 향후 치료 전개 과정에 대해 설명할 때, 그 선입관을 기본 개념으로 사고를 전개해 나갈 수 있기 때문에 환자들이나 보호자들의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개연성이 충분히 있기 때문이다.
  • 환자 개개인마다 가치 기준이나 주변 상황이 틀리기 때문에 특정 연구 결과를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도 문제가 있지만, 분명한 것 은 대부분의 의료인들이 아무런 기준도 없이 환자의 삶에 대한 만족도와 가치를 너무 낮게 평가하여 치료에 적극성을 가지지 않았 다는 것이다.
  • 다양한 호흡 재활 도구와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인공호흡기도 기관 절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환자의 적응증도 확대되는 등 환자의 선택의 범위가 넓어지고 사용할 수 있는 여건이 용이해졌다.
  • 이와 더불어 정보 과학기술의 발전과 기계 공학의 발전으로 인하여 인간의 장애를 보충해 줄 수 있는 기기들이 꾸준히 개발되어 환 자의 삶에 큰 장애가 되었던 것들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. 따라서 의료진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 한다면 환자는 이전보다 나은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생명 또한 연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