호흡질환 환자의 재활이란 교육 및 다양한 기법과 기구를 이용한 포괄적이고 집중적인 치료를 통해 호흡질환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조절하며, 호흡장애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. 재활치료를 통해 환자의 운동능력을 증가시키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높여 줌으로써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최적의 기능수행능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다. 호흡재활에서 호흡질환은 내인성 혹은 폐쇄성 질환군과 제한성 폐질환군의 두 가지로 분류하여 접근한다. 전자는 산소화 장애가 주장애인 질환으로 현재 비교적 보편화되어 있는 호흡재활치료는 이 질환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. 후자의 경우는 환기장애가 주 장애인 질환군이다. 즉 두 질환군은 근본적인 병태생리가 다르기 때문에 각 질환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. 본 장에서는 이 두 군의 대표적인 질환인 만성 폐쇄성 폐질환과 신경근육계 질환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.
호흡재활의 구성 요소로는 환자 교육, 호흡 재교육, 이완 요법, 기도 분비물 관리, 재조건화 운동, 그리고 심리 및 영양 상담 등이 있다. 환기 보조가 필요한 환자에게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기 보조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도 호흡재활의 중요한 부분이다. 따라서 호흡재활에서는 비침습적 인공 환기법에 상당한 비중을 두고 있으며 이 방법은 주로 신경근육계 질환자에서 장기 환기 보조에 이용되고 있다.